전체 글 112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및 PostgreSQL

https://holix.com/course/development-data/UX25 나의 첫 코딩 수업 - AI를 이용한 개발 완벽 가이드 | 홀릭스(HOLIX)나의 첫 코딩 수업 - AI를 이용한 개발 완벽 가이드holix.com 데이터베이스의 필요성- 구조적이고 형식에 맞는 저장을 하고, 새로 생긴 데이터를 잘 저장을 하면,1. 데이터의 정합성을 관리하기 더 쉬움, 정합성이라는 건, 데이터가 서로 모순이 없는 상태2. 쓰고 읽는 속도를 최적화할 수 있음. 저장,불러오기, 쿼리 등등3. 표준을 만들어 타 프레임워크와 호환성을 높일 수 있음4. 백업과 복원이 쉬움5. 이벤트(transaction)를 완성도 있게 처리할 수 있음 --> ACID Transaction 트랜잭션의 주요 특징 ACID : 트랜잭..

홀릭스 HOLIX - 공부 중 - Django 소개 및 설치

https://holix.com/course/development-data/UX25 나의 첫 코딩 수업 - AI를 이용한 개발 완벽 가이드 | 홀릭스(HOLIX)나의 첫 코딩 수업 - AI를 이용한 개발 완벽 가이드holix.com HTTP request/response 에 대해서 배웠었다.client 가 request를 보내면server 가 response 를 하는 통신 방식이다. Django가 server의 역할을 하는 쪽 같다. 파이썬 프로세스 안에 장고 엔진이 있는 것.장고 엔진 위에 장고 어플리케이션을 올리는 것. 그러니까,내 기기 위에서 (내 컴터)로컬 OS 가 돌아가는 거고 (windows 또는 mac os)그 위에서 python이라는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도 있고 process 라고 할 수도..

파이썬 입문 공부 후, 실제 개발을 해볼 수 있는 공부 중

프로그래머스의 파이썬 입문 강의가 있다.그걸 듣고 나서, 코딩테스트 문제, PCCP 문제를 풀어봤다.근데, 모르는 걸 chatGPT에게 물어보다가, 순간 섬뜩한 기분이 들었다.chatGPT가 저렇게 잘 하는걸, 내가 지금 왜 배우고 있는거지? 그래서, 빨리 뭔가를 개발해서 배포를 해보는 과정을 겪어보라는 친구의 조언이 더해져서,실제 개발을 해서 배포까지 해보는, 시작과 끝을 한 번 겪어볼 수 있는 강의를 알려줬다.그게홀릭스에 있는 낭만공돌이님의 강의이다.https://holix.com/course/development-data/UX25  지금까지 공부했던 건 네이버 블로그에 기록해놨다.https://blog.naver.com/wy_family근데 아내가 네이버 블로그에 남기지 말고 티스토리에 글을 남겨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