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Boot에서 POJO와 Controller는 같은 것이 아닙니다. 이 둘은 서로 다른 개념을 가지며, 역할도 다릅니다. 각각의 정의와 차이점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OJO (Plain Old Java Object)
- 정의:
- POJO는 단순히 "기본적인" 자바 객체를 의미합니다.
- 특정 프레임워크나 기술에 종속되지 않는, 최소한의 코드로 구성된 클래스를 말합니다.
- 주로 데이터 저장, 비즈니스 로직, 서비스 로직 등을 처리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 특징:
- Java 표준 클래스로 작성됨.
- 상속이나 인터페이스 구현을 강제하지 않음.
- 종속성을 최소화하여 재사용성이 높음.
예제:
public class User {
private String name;
private int age;
// Constructor
public User(String name, int age) {
this.name = name;
this.age = age;
}
// Getter and Setter
public String getName() {
return name;
}
public void setName(String name) {
this.name = name;
}
public int getAge() {
return age;
}
public void setAge(int age) {
this.age = age;
}
}
Controller
- 정의:
- Spring MVC 패턴에서 사용되는 컴포넌트로, HTTP 요청을 처리하고 응답을 반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 일반적으로 @Controller 또는 @RestController 어노테이션이 사용됩니다.
- 웹 계층(Web Layer)의 일부로, 요청-응답의 입구와 출구 역할을 합니다.
- 특징:
- Spring 프레임워크의 구조에 의존적.
- 주로 비즈니스 로직 호출, 데이터 반환 등을 담당.
- POJO와 달리 HTTP 관련 로직과 프레임워크 어노테이션에 의존적임.
예제:
@RestController
@RequestMapping("/users")
public class UserController {
@GetMapping("/{id}")
public String getUser(@PathVariable Long id) {
return "User ID: " + id;
}
}
주요 차이점
구분POJOController
의존성 | 프레임워크에 의존하지 않음 | Spring 프레임워크에 의존적 |
역할 | 데이터 모델링, 로직 처리 | HTTP 요청 처리 및 응답 반환 |
어노테이션 사용 | 일반적으로 사용하지 않음 (필요시 Lombok 정도 활용) | @Controller, @RestController 등 사용 |
위치 | 서비스, 도메인 레이어에서 주로 사용됨 | 웹 계층(Web Layer)에 위치 |
결론
- POJO는 프레임워크와 무관한 일반적인 객체이고, Controller는 Spring MVC에서 HTTP 요청과 응답을 처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 Controller는 POJO를 내부적으로 사용할 수 있지만, POJO와 Controller는 같은 개념이 아닙니다.
흐음... POJO가 도대체 뭘까? 그냥 일반적인 클래스의 객체라고 보아야 하는건가? 뭐지?
POJO의 정의
- "특별한 규칙이 없는" 객체:
- POJO는 자바에서 프레임워크, 라이브러리, 디자인 패턴 등 특정 기술에 의존하지 않는 클래스를 말합니다.
- 특정한 상속(extends)이나 인터페이스(implements)를 강제하지 않습니다.
- 왜 POJO라는 용어가 나왔을까?:
- 과거에는 엔터프라이즈 애플리케이션에서 EJB(Enterprise JavaBeans)와 같은 기술을 사용할 때, 많은 규칙과 복잡한 코드를 따라야 했습니다. 이를 단순화하고 순수한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으로 돌아가자는 취지에서 POJO라는 개념이 생겼습니다.
POJO의 특징
- 순수한 Java 클래스:
- 클래스는 단순히 멤버 변수(필드)와 메서드를 포함합니다.
- public, private, protected 등의 접근 제어자를 따릅니다.
- 어떤 것도 강제하지 않음:
- 특정 인터페이스나 클래스를 반드시 상속할 필요가 없음.
- 예: Serializable, Cloneable 등 인터페이스를 구현하지 않아도 됨.
- No Annotation, No Dependency:
- Spring, Hibernate와 같은 프레임워크의 어노테이션이나 특정 요구사항이 없어도 작동.
- 재사용 가능:
- POJO는 기술에 독립적이므로 다른 프로젝트나 환경에서도 쉽게 재사용할 수 있음.
POJO 예제
기본 POJO 클래스:
public class Person {
private String name;
private int age;
// 생성자
public Person(String name, int age) {
this.name = name;
this.age = age;
}
// Getter와 Setter
public String getName() {
return name;
}
public void setName(String name) {
this.name = name;
}
public int getAge() {
return age;
}
public void setAge(int age) {
this.age = age;
}
@Override
public String toString() {
return "Person{name='" + name + "', age=" + age + "}";
}
}
이 클래스는 어떤 특별한 어노테이션이나 프레임워크에 의존하지 않으며 순수하게 자바 언어만 사용해 작성된 클래스입니다.
사용 예: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Person person = new Person("Alice", 25);
System.out.println(person.getName()); // Alice
person.setAge(26);
System.out.println(person.getAge()); // 26
}
POJO는 무엇이 아니냐?
- 특정 프레임워크에 강하게 의존하는 객체는 POJO가 아님:
- Spring의 @Component나 Hibernate의 @Entity로 정의된 클래스는 POJO의 특징에서 벗어납니다.
@Entity
public class Employee {
@Id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name;
// ...
}
POJO의 활용
POJO는 주로 다음과 같은 역할에서 사용됩니다:
- 데이터 전달 객체 (DTO):
- 데이터베이스나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 단순한 데이터를 담는 클래스.
- 도메인 모델:
- 애플리케이션의 핵심 비즈니스 로직을 표현하는 클래스.
- 테스트 가능성:
- POJO는 외부 종속성이 없으므로 단위 테스트 작성이 쉽습니다.
POJO와 Spring의 관계
Spring 프레임워크는 POJO의 이점을 최대한 활용합니다.
- Spring은 POJO로 작성된 클래스를 스프링 컨테이너에서 관리할 수 있도록 어노테이션을 통해 확장할 수 있습니다.
- Spring의 철학은 **"POJO 프로그래밍을 유지하면서 유연성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Spring에서 POJO 예:
@Component
public class GreetingService {
public String greet(String name) {
return "Hello, " + name;
}
}
이 클래스 자체는 여전히 POJO이며, Spring의 @Component 어노테이션으로 추가적인 기능이 부여된 것뿐입니다.
결론
POJO는 그냥 일반적인 자바 클래스입니다.
- 특정 기술이나 프레임워크에 의존하지 않는 순수한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을 지향합니다.
- POJO는 데이터 모델링, DTO, 비즈니스 로직, 도메인 객체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됩니다.
- POJO는 현대 자바 애플리케이션에서 가볍고 테스트 가능하며 유지보수 가능한 코드를 작성하는 데 필수적인 개념입니다.
근데 왜 자꾸 spring boot 강의에서, web tier에 해당하는 controller랑 POJO랑 같은 것처럼 설명하는걸까
Spring Boot 강의에서 Controller와 POJO를 같은 것처럼 설명하는 이유는,
컨트롤러가 본질적으로 POJO의 특징을 가진 클래스라는 점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것은 엄밀히 말하면 약간의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 이를 더 명확히 설명하겠습니다.
Controller와 POJO의 관계
Spring MVC에서 Controller 클래스는 기본적으로 POJO입니다.
즉, Spring에서는 컨트롤러를 만들 때 프레임워크에 종속적인 복잡한 설정 없이 단순한 클래스를 정의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설계는 Spring이 POJO 프로그래밍을 지향하기 때문입니다.
POJO로 작성된 Controller
Spring Boot의 컨트롤러는 기본적으로 POJO로 시작됩니다.
예를 들어, 아래 컨트롤러는 단순히 자바 클래스처럼 보입니다:
@RestController
@RequestMapping("/greet")
public class GreetingController {
@GetMapping
public String sayHello() {
return "Hello, World!";
}
}
- 이 클래스는 본질적으로 POJO입니다.
- Spring이 @RestController와 같은 어노테이션을 통해 HTTP 요청을 처리하도록 역할을 확장했을 뿐입니다.
왜 "Controller는 POJO다"라고 설명할까?
- 프레임워크의 철학:
- Spring은 POJO를 최대한 활용하여 개발자들이 특정한 기술적 종속성 없이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 Controller도 POJO로 작성되며, Spring이 어노테이션 등을 통해 필요한 기능을 추가합니다.
- EJB의 반동:
- 과거 EJB(Enterprise JavaBeans)는 복잡한 설정과 강제된 설계 방식을 요구했지만, Spring은 POJO만으로도 충분히 애플리케이션을 작성할 수 있도록 단순화를 강조했습니다.
- Controller도 복잡한 기술적 종속성이 없는 POJO의 일종이라는 점을 홍보하려는 의도가 있습니다.
- 학습 접근성:
- Spring Boot 강의에서는 "컨트롤러도 결국 자바의 일반 클래스(POJO)"라는 점을 강조해 학습자의 접근성을 높이고자 합니다.
- 실제로 POJO라는 점을 강조하면 초보자들이 Spring의 복잡함보다는 "일반적인 Java 객체를 활용한다"는 간단한 개념으로 시작할 수 있습니다.
Controller는 완전한 POJO인가?
네, 기본적으로 POJO입니다:
- 컨트롤러 클래스는 자바 표준 클래스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 예를 들어, 아래 컨트롤러는 단순한 자바 클래스처럼 보입니다:
@RestController
public class HelloController {
@GetMapping("/hello")
public String hello() {
return "Hello!";
}
}
- 위 클래스는 순수 자바 코드로 작성되었으며, Spring이 어노테이션을 통해 HTTP 요청 처리 역할을 추가한 것입니다.
아니요, 완전히 POJO는 아닙니다:
- 컨트롤러가 Spring의 의존성을 가진다는 점에서, 엄밀히 말하면 POJO의 순수한 정의(프레임워크 비의존적)에는 부합하지 않습니다.
- @RestController, @GetMapping 같은 어노테이션은 Spring에서 제공하는 기능입니다. 즉, Spring이 없으면 컨트롤러는 작동하지 않습니다.
POJO와 Controller를 구분하는 올바른 이해
- POJO란?
- POJO는 "프레임워크 비의존적이고, 순수하게 자바로 작성된 클래스"입니다.
- 기술적 강제성이 없는 객체입니다.
- Controller란?
- Controller는 HTTP 요청과 응답을 처리하는 Spring의 특정 역할을 가진 클래스입니다.
- POJO의 형태로 작성되지만, Spring의 어노테이션으로 역할이 확장되었기 때문에 완전히 POJO라고만 보기는 어렵습니다.
- 강의에서의 혼동:
- "Controller는 POJO처럼 간단하게 작성할 수 있다"는 점을 설명하다 보니, Controller를 POJO로 오인하게 될 수 있습니다.
- 정확히 말하면 "Controller는 POJO 기반으로 만들어졌지만, Spring의 기능이 추가된 특수한 역할을 한다"가 올바른 설명입니다.
결론
Spring 강의에서 "Controller와 POJO는 같다"는 식으로 설명하는 이유는 Spring이 개발자의 편의를 위해 POJO 형태로 컨트롤러를 작성할 수 있도록 설계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두 개념은 완전히 동일한 것은 아닙니다:
- POJO는 순수한 자바 객체.
- Controller는 POJO 형태로 작성되지만, Spring의 어노테이션과 역할이 추가된 특수한 POJO입니다.
이 차이를 이해하면 강의 내용이 왜 그렇게 설명되었는지 명확히 이해할 수 있을 겁니다.
Spring Boot의 MVC, @EnableAutoConfiguration, @ComponentScan, 그리고 Web Layer (Controller), Service Layer, Repository Layer를 이용해 애플리케이션 구조를 설명하는 것은 Spring Boot의 핵심 개념과 3-Tier Architecture를 통합적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를 단계별로 정리하겠습니다.
1. MVC (Model-View-Controller)
Spring Boot는 MVC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동작하며, 이는 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주로 사용되는 구조입니다.
구성 요소
- Model:
- 데이터와 관련된 로직을 처리합니다.
- Entity 클래스 또는 DTO(Data Transfer Object)로 표현됩니다.
- 예: User, Product 등의 데이터 모델.
- View:
- 사용자에게 데이터를 표시하는 부분입니다.
- Spring Boot에서는 REST API로 JSON 또는 HTML 뷰를 반환할 수 있습니다.
- 예: Thymeleaf, HTML, JSON 응답.
- Controller:
- 사용자의 요청(Request)을 받아서 처리하고, 응답(Response)을 반환합니다.
- Service와 Repository와 협력하여 데이터를 가져오거나 처리한 뒤, 결과를 반환합니다.
MVC 흐름
- 클라이언트 → Controller (요청 처리) → Service (비즈니스 로직 처리) → Repository (데이터베이스 접근) → 결과 반환.
2. @EnableAutoConfiguration
- Spring Boot가 제공하는 설정 자동화 기능을 활성화합니다.
- Spring Boot는 자동으로 필요한 설정을 구성하여, 개발자가 복잡한 XML 설정을 작성하지 않아도 됩니다.
예제:
@SpringBootApplication
public class Applicatio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pringApplication.run(Application.class, args);
}
}
- @SpringBootApplication은 @EnableAutoConfiguration, @ComponentScan, @Configuration을 포함한 어노테이션입니다.
- Spring Boot가 자동으로 MVC, JPA, Security 등의 설정을 활성화합니다.
3. @ComponentScan
- Spring의 **의존성 주입(Dependency Injection)**을 위해 **Bean(컴포넌트)**을 검색하는 역할을 합니다.
- 기본적으로 @SpringBootApplication이 선언된 클래스의 하위 패키지를 스캔합니다.
역할
- @Controller, @Service, @Repository와 같은 어노테이션이 붙은 클래스를 찾아서 Spring 컨테이너에 등록합니다.
예제:
@ComponentScan(basePackages = "com.example")
public class AppConfig {
}
- 위 설정은 com.example 패키지 이하에서 컴포넌트를 스캔합니다.
4. Web Layer (Controller), Service Layer, Repository Layer
Spring Boot에서 이 3개의 계층은 3-Tier Architecture를 구현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각 계층은 Spring의 주요 어노테이션을 사용해 구현됩니다.
Web Layer (Controller Layer)
- 사용자의 HTTP 요청을 받아서 처리합니다.
- 요청(Request)을 받아 Service Layer에 전달하고, 응답(Response)을 반환합니다.
- Spring Boot 어노테이션: @Controller, @RestController, @RequestMapping, @GetMapping, @PostMapping 등.
예제:
@RestController
@RequestMapping("/users")
public class UserController {
private final UserService userService;
public UserController(UserService userService) {
this.userService = userService;
}
@GetMapping("/{id}")
public User getUser(@PathVariable Long id) {
return userService.getUserById(id);
}
}
Service Layer
-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하는 계층입니다.
- Web Layer에서 전달받은 요청을 처리하고, Repository Layer와 상호작용하여 데이터를 가공합니다.
- Spring Boot 어노테이션: @Service.
예제:
@Service
public class UserService {
private final UserRepository userRepository;
public UserService(UserRepository userRepository) {
this.userRepository = userRepository;
}
public User getUserById(Long id) {
return userRepository.findById(id)
.orElseThrow(() -> new UserNotFoundException("User not found with ID: " + id));
}
}
Repository Layer
- 데이터베이스와의 상호작용을 담당합니다.
- JPA, JDBC 등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CRUD(Create, Read, Update, Delete)합니다.
- Spring Boot 어노테이션: @Repository.
예제:
@Repository
public interface UserRepository extends JpaRepository<User, Long> {
}
- Spring Data JPA는 기본적인 CRUD 작업을 자동으로 처리해 줍니다.
5. 전체 구조
Spring Boot에서 MVC와 3-Tier 구조를 통합한 예제 프로젝트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
src/
├── main/
│ ├── java/com/example/
│ │ ├── controller/
│ │ │ └── UserController.java // Web Layer
│ │ ├── service/
│ │ │ └── UserService.java // Service Layer
│ │ ├── repository/
│ │ │ └── UserRepository.java // Repository Layer
│ │ ├── model/
│ │ │ └── User.java // Model (Entity)
│ │ └── Application.java // Main Application
│ └── resources/
│ └── application.properties // Spring 설정 파일
6. 전체 동작 흐름
- 사용자 요청 (Web Layer):
- 사용자가 /users/1로 GET 요청을 보냄.
- UserController가 요청을 받아 UserService를 호출.
- 비즈니스 로직 처리 (Service Layer):
- UserService는 UserRepository를 사용해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조회.
- 데이터베이스 작업 (Repository Layer):
- UserRepository는 JPA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검색.
- 응답 반환:
- UserService가 결과를 UserController로 전달.
- UserController는 데이터를 클라이언트에 JSON 형식으로 반환.
7. Spring Boot의 자동화 기능
Spring Boot는 @EnableAutoConfiguration과 @ComponentScan을 통해:
- 의존성 관리: JPA, MVC 설정 등을 자동으로 구성.
- Bean 등록: @Controller, @Service, @Repository 등을 자동으로 스캔하여 Spring 컨테이너에 등록.
- 의존성 주입: 생성자 기반 주입, 필드 기반 주입 등을 통해 계층 간 의존성 연결.
결론
Spring Boot를 이용한 3-Tier 구조에서:
- MVC 패턴은 애플리케이션의 전반적인 설계를 정의.
- @EnableAutoConfiguration과 @ComponentScan은 설정의 자동화 및 간소화를 제공.
- Web Layer, Service Layer, Repository Layer는 각각의 역할을 명확히 분리하여 코드의 유지보수성과 확장성을 높이는 구조를 만듭니다.
일단 service 를 구성해보려고 한다.
service 패키지를 만들어서 그 안에 java 파일을 생성해야 한다. (class 생성)
그리고 HomeService 에서, class 를 interface 로 바꿔주자.
그리고 같은 패키지 내에 HomeServiceImpl 를 만들고, 거기에 @Service 어노테이션을 달아줘야 한다.
그리고 implements HomeService 를 걸어주자.
@Service 가 붙어있기 때문에, @ComponentScan 에 의해서 스캔이 되어서 Spring Container에 올라갈 것이다. 그럴려면 객체가 생성된다는 것이니까, 생성자 메서드가 실행이 된다. 그러면 저기 "HomeServiceImpl also created" 가 출력이 될것이다.
저게 출력이 되었다는 건, new HomeServiceImpl() 가 메모리에 생성되었다는 걸 의미한다.
Service 다음으로는,
Repository를 만들어보자.
그리고 이번에는 interface 를 만들때, 처음부터 파일 형식을 interface로 선택해주자.
Repository의 경우에는 구현체 (Implementing)가 필요가 없다. 그 이유는 아래에 공부한다고 기록을 했다. 하지만, 그렇게까지 잘 이해가 되지는 않는다. 아마 내가 모르는게 많아서 일 것. 일단은 계속 나아가자. 몰라도, 나아가다보면, 갑자기 환하게 문이 열리듯이 쏴아아악 이해가 되는 순간이 오기도 하니까.
일단, Repository의 역할 상, Entity 가 필요하다.
그러니 Entity 를 만들어주어야 하는데, 그럴려면,
DB처럼 table 을 만들어주고, 이것저것 배워야 하는게 많아서 이거는 다음 시간에.
아직 배우지는 않아서 모르지만 <> 이 기호에 대해서, 차차 배우도록 하자.
질문 1: class를 interface로 바꾸면 어떻게 되는 거야? 어떤 의미인거야?
class를 interface로 바꾼다는 것은, 해당 클래스가 더 이상 구체적인 구현체가 아니고, 기능(메서드)의 명세만 정의한 틀로 사용하겠다는 뜻입니다.
interface란?
- interface는 메서드 시그니처만 선언하고, 구체적인 구현은 하지 않습니다.
- 클래스와 달리 객체를 직접 생성할 수 없으며, 구현체(implementing class)가 필요합니다.
- 구현체는 implements 키워드를 사용하여 인터페이스에 정의된 메서드를 구체적으로 구현해야 합니다.
왜 interface로 바꾸는가?
- 유연성과 확장성:
-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면 여러 구현체를 만들 수 있어 유연하게 교체 가능.
- 예를 들어, HomeService를 구현한 HomeServiceImpl, MockHomeService 등 다양한 구현체를 생성할 수 있음.
- 의존성 주입 (Dependency Injection):
- Spring에서는 인터페이스를 사용해 구현체를 주입합니다. 이로 인해 구현체를 변경하더라도 코드 수정 없이 다른 객체를 주입 가능.
- 예: HomeService의 구현체로 HomeServiceImpl 또는 테스트용 MockHomeService를 선택 가능.
- 테스트 용이성:
- 테스트 환경에서 실제 구현 대신 Mock(가짜 객체)을 주입하여 테스트할 수 있음.
예제
인터페이스:
public interface HomeService {
String getGreeting();
}
구현체:
@Service
public class HomeServiceImpl implements HomeService {
@Override
public String getGreeting() {
return "Hello from HomeServiceImpl";
}
}
질문 2: 왜 HomeServiceImpl에는 @Service를 붙이고, HomeService에는 안 붙이는 거야?
Spring에서 @Service는 특정 클래스가 서비스 역할을 한다고 선언하며, Spring Container에 Bean으로 등록하기 위한 어노테이션입니다.
HomeService와 HomeServiceImpl의 구조
- HomeService (Interface):
- 인터페이스는 객체를 직접 생성할 수 없으므로 Spring Container에 Bean으로 등록할 필요가 없습니다.
- HomeService는 단순히 **규약(명세)**을 정의하며, 어떤 메서드가 필요할지 설계만 합니다.
- HomeServiceImpl (구현체):
- HomeService를 구현한 실제 클래스입니다.
- 객체를 생성해야 하기 때문에 @Service를 붙여 Spring Container에 Bean으로 등록합니다.
- Spring은 이 구현체를 HomeService 타입의 의존성으로 주입합니다.
왜 이렇게 설계하는가?
- 인터페이스를 통한 의존성 주입:
- Spring에서는 인터페이스 타입으로 Bean을 주입받습니다. 이로 인해 구현체를 변경하더라도 인터페이스를 통해 주입받는 방식은 동일하게 유지됩니다.
- 예:
public class SomeController {
private final HomeService homeService;
public SomeController(HomeService homeService) {
this.homeService = homeService;
}
}
- 여기서 HomeService 타입으로 주입받으면, 실제로는 HomeServiceImpl 객체가 주입됩니다.
- 역할과 구현의 분리:
- 인터페이스는 역할(무엇을 할 것인가)을 정의하고, 구현체는 그것을 어떻게 구현할지를 정의합니다.
- 이런 분리는 코드를 더 유연하고 유지보수하기 쉽게 만듭니다.
- 구현체를 교체할 가능성:
- 만약 HomeServiceImpl 대신 새로운 구현체를 추가해야 한다면, 기존 코드를 변경할 필요 없이 새로운 클래스를 구현하고 Bean으로 등록하기만 하면 됩니다.
@Service가 Spring Container에서 객체 생성을 돕는 이유
- Spring은 @Service, @Component, @Repository 등으로 등록된 클래스들을 자동으로 스캔합니다.
- 이 클래스들은 Spring Container에 Bean으로 등록되고, DI(Dependency Injection)로 다른 클래스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인터페이스에는 객체를 생성할 수 없으므로, 구현체에 @Service를 붙여야 Spring이 객체를 생성합니다.
정리
- interface로 바꾸는 의미:
- 인터페이스는 구체적인 구현을 감추고, 역할(계약)을 명확히 정의하기 위함입니다.
- 이를 통해 구현체를 유연하게 교체하거나 테스트를 쉽게 수행할 수 있습니다.
- 왜 HomeServiceImpl에 @Service를 붙이는가?
- Spring Container가 HomeServiceImpl 객체를 관리하고 생성하도록 하기 위해서입니다.
- 인터페이스는 단순히 명세를 제공하며, 직접 객체를 생성하지 않기 때문에 @Service를 붙이지 않습니다.
Service와 다르게, Repository의 경우에는 implements 구현체가 필요한게 아니라, EntityManage가 있다고 하는데, 무슨 뜻이야? extends JpaRepository 를 쓰긴 하더라.
1. Repository와 EntityManager
EntityManager란?
- EntityManager는 JPA(Java Persistence API)의 핵심 인터페이스로, **데이터베이스와의 상호작용(읽기/쓰기/삭제 등)**을 담당합니다.
- 이를 통해 **엔티티 객체를 영속성 컨텍스트(Persistence Context)**에 관리하고, 데이터베이스 작업을 수행합니다.
EntityManager 주요 역할
- CRUD 작업:
- 데이터베이스에 엔티티를 저장, 수정, 삭제, 조회.
- 쿼리 실행:
- JPQL(Java Persistence Query Language) 또는 Native Query 실행.
- 영속성 컨텍스트 관리:
- 엔티티 상태를 관리(Transient, Persistent, Detached).
Spring Data JPA에서 EntityManager와 Repository
- Spring Data JPA는 내부적으로 EntityManager를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 작업을 수행합니다.
- 개발자가 직접 EntityManager를 사용해 코드 작성하지 않아도, Spring Data JPA가 이를 감싸고 있는 JpaRepository를 통해 자동으로 처리해줍니다.
2. JpaRepository
JpaRepository란?
- JpaRepository는 Spring Data JPA가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로, 데이터 접근 계층(Repository)을 위한 기본 CRUD 메서드와 추가 기능을 제공합니다.
- JpaRepository를 상속받으면, 구현체를 작성할 필요 없이 기본적인 데이터베이스 작업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JpaRepository 주요 메서드
- CRUD 메서드
- save(): 엔티티 저장 또는 업데이트.
- findById(): 특정 ID로 엔티티 조회.
- findAll(): 모든 엔티티 조회.
- delete(): 엔티티 삭제.
- 페이징과 정렬
- findAll(Pageable pageable): 페이징 지원.
- findAll(Sort sort): 정렬 지원.
- 커스텀 쿼리 메서드
- findByName(String name): 메서드 이름으로 쿼리 생성.
왜 JpaRepository에는 구현체가 필요 없을까?
- Spring Data JPA는 프록시(Proxy) 객체를 자동으로 생성해줍니다.
- 우리가 JpaRepository를 상속하면, Spring Boot는 실행 시점에 JpaRepository의 구현체를 동적으로 생성하고 Spring Container에 Bean으로 등록합니다.
- 내부적으로 EntityManager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처리합니다.
예제
1. Repository 정의
@Repository
public interface UserRepository extends JpaRepository<User, Long> {
// JpaRepository에서 제공하는 기본 CRUD 메서드 사용 가능
List<User> findByName(String name); // 커스텀 메서드도 정의 가능
}
2. Service 계층에서 Repository 사용
@Service
public class UserService {
private final UserRepository userRepository;
public UserService(UserRepository userRepository) {
this.userRepository = userRepository;
}
public User getUserById(Long id) {
return userRepository.findById(id)
.orElseThrow(() -> new UserNotFoundException("User not found"));
}
}
3. Controller 계층
@RestController
@RequestMapping("/users")
public class UserController {
private final UserService userService;
public UserController(UserService userService) {
this.userService = userService;
}
@GetMapping("/{id}")
public ResponseEntity<User> getUser(@PathVariable Long id) {
return ResponseEntity.ok(userService.getUserById(id));
}
}
3. Repository와 Service의 차이
Repository
- 데이터베이스와의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담당합니다.
- Spring Data JPA에서 제공하는 JpaRepository를 사용하면 EntityManager를 직접 다루지 않아도 됩니다.
- Spring Data JPA는 JpaRepository를 동적으로 구현하기 때문에 구현체를 별도로 작성할 필요가 없습니다.
Service
-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하며, Repository를 통해 데이터를 읽고 쓰는 작업을 수행합니다.
- Repository와 달리, Service는 구현체가 필요하며 일반적으로 인터페이스(interface)와 구현체(class)로 분리해서 작성합니다.
4. EntityManager를 직접 사용하는 경우
일부 고급 데이터베이스 작업이 필요하거나, 복잡한 쿼리를 실행해야 할 때는 EntityManager를 직접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제: EntityManager 사용
@Repository
public class CustomUserRepository {
@PersistenceContext
private EntityManager entityManager;
public List<User> findUsersWithCustomQuery() {
String jpql = "SELECT u FROM User u WHERE u.active = true";
return entityManager.createQuery(jpql, User.class).getResultList();
}
}
5. 결론
- Repository는 구현체가 필요하지 않은 이유:
- Spring Data JPA가 제공하는 JpaRepository를 상속하면, Spring이 런타임 시점에 구현체를 자동으로 생성합니다.
- 내부적으로 EntityManager를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 작업을 처리합니다.
- Service와의 차이:
- Service는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하며, 구현체를 직접 작성해야 합니다.
- Repository는 데이터를 저장, 조회, 수정, 삭제하는 역할에 집중하며, Spring이 구현체를 자동으로 생성해줍니다.
추가 질문이 있다면 언제든 물어보세요! 😊
근데, Entity 가 뭐야?
Entity는 **JPA(Java Persistence API)**에서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과 매핑되는 클래스를 말합니다.
즉, **데이터베이스의 행(row)**을 자바 객체로 표현한 것입니다. Entity는 애플리케이션에서 데이터를 객체로 다루기 위해 사용됩니다.
Entity의 주요 특징
- 데이터베이스와 1:1 매핑:
- Entity 클래스는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과 1:1로 매핑됩니다.
- Entity의 각 필드는 테이블의 열(column)에 매핑됩니다.
- JPA를 통한 데이터 조작:
- Entity 클래스는 JPA에서 관리되며, EntityManager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와 상호작용합니다.
- 개발자는 SQL 대신 JPA를 사용해 객체와 데이터베이스 간의 작업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 어노테이션 기반 구성:
- JPA는 Entity를 정의하기 위해 어노테이션을 사용합니다.
- 예를 들어, @Entity, @Id, @Column 등이 있습니다.
Entity의 정의
1. 필수 어노테이션
- @Entity: 클래스가 JPA Entity임을 선언.
- @Id: 기본 키(Primary Key)로 사용할 필드를 지정.
2. 옵션 어노테이션
- @Table: Entity와 매핑될 데이터베이스 테이블 이름을 지정.
- @Column: 필드와 매핑될 열(column)의 속성을 설정.
- @GeneratedValue: Primary Key의 생성 전략을 지정.
Entity 예제
요구사항:
사용자(User)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을 모델링합니다. 테이블에는 ID, 이름, 이메일, 생성일이 포함됩니다.
Entity 정의:
import jakarta.persistence.*;
import java.time.LocalDateTime;
@Entity // 이 클래스가 JPA Entity임을 선언
@Table(name = "users") // 매핑할 테이블 이름 설정
public class User {
@Id // 기본 키 지정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 ID 자동 생성 전략
private Long id;
@Column(nullable = false) // not null 제약 조건 설정
private String name;
@Column(unique = true) // unique 제약 조건 설정
private String email;
@Column(name = "created_at") // 컬럼 이름 매핑
private LocalDateTime createdAt;
// 기본 생성자 (JPA는 기본 생성자가 필요)
public User() {}
// 생성자
public User(String name, String email, LocalDateTime createdAt) {
this.name = name;
this.email = email;
this.createdAt = createdAt;
}
// Getter & Setter
public Long getId() {
return id;
}
public void setId(Long id) {
this.id = id;
}
public String getName() {
return name;
}
public void setName(String name) {
this.name = name;
}
public String getEmail() {
return email;
}
public void setEmail(String email) {
this.email = email;
}
public LocalDateTime getCreatedAt() {
return createdAt;
}
public void setCreatedAt(LocalDateTime createdAt) {
this.createdAt = createdAt;
}
}
Entity와 데이터베이스 테이블 매핑
위의 User 클래스는 다음과 같은 데이터베이스 테이블과 매핑됩니다:
users 테이블 |
id (Primary Key, Auto Increment) |
name (Not Null) |
email (Unique) |
created_at |
Entity와 JPA를 활용한 데이터베이스 작업
Repository 인터페이스:
@Repository
public interface UserRepository extends JpaRepository<User, Long> {
// 기본 CRUD 메서드 제공
User findByEmail(String email);
}
Service 계층:
@Service
public class UserService {
private final UserRepository userRepository;
public UserService(UserRepository userRepository) {
this.userRepository = userRepository;
}
public User createUser(String name, String email) {
User user = new User(name, email, LocalDateTime.now());
return userRepository.save(user); //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
public User getUserById(Long id) {
return userRepository.findById(id)
.orElseThrow(() -> new RuntimeException("User not found"));
}
}
Controller 계층:
@RestController
@RequestMapping("/users")
public class UserController {
private final UserService userService;
public UserController(UserService userService) {
this.userService = userService;
}
@PostMapping
public ResponseEntity<User> createUser(@RequestBody User user) {
return ResponseEntity.ok(userService.createUser(user.getName(), user.getEmail()));
}
@GetMapping("/{id}")
public ResponseEntity<User> getUser(@PathVariable Long id) {
return ResponseEntity.ok(userService.getUserById(id));
}
}
Entity의 상태
Entity는 JPA의 영속성 컨텍스트에 의해 관리됩니다. 이때 엔티티의 상태는 다음 중 하나에 해당합니다:
- Transient (비영속 상태):
- Entity 객체가 메모리에서 생성되었지만, 데이터베이스와 연결되지 않은 상태.
- new User()로 생성된 객체.
- Persistent (영속 상태):
- Entity 객체가 영속성 컨텍스트에 의해 관리되는 상태.
- EntityManager.persist(entity)를 호출하거나, Repository의 save() 메서드를 호출했을 때.
- Detached (분리 상태):
- 영속성 컨텍스트에서 더 이상 관리되지 않는 상태.
- EntityManager.detach(entity)로 분리하거나, 영속성 컨텍스트가 닫힐 때.
- Removed (삭제 상태):
- 삭제 작업이 예약된 상태.
- EntityManager.remove(entity) 또는 Repository의 delete() 메서드 호출 시.
결론
Entity는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 모델을 정의하고, 데이터베이스와 객체 간의 매핑을 관리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Spring Data JPA와 결합하면 Entity를 활용하여 SQL 없이도 데이터베이스 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습니다.